aws
[AWS] EC2 no space left on device 해결과정
tonirr
2020. 3. 2. 17:33
oracle을 설치하다가 위와같은 에러가 발생해서 찾아보다가
아래블로그를 참고하면서 EC2 볼륨을 늘려줬다.
내 경우에는 볼륨을 수정하는 과정에서 수정된 볼륨이 적용되지 않아 애를 많이 먹었다.
https://djangoworld.tistory.com/17
1. df -h 명령어로 사용률 확인
- use가 100%이면 디바이스 볼륨 크기를 모두 사용하고 있다는 것이므로 볼륨을 최적화 후 크기를 늘려주어야 함
2. AWS management console에서 볼륨 크기 수정하기
- 좌측 메뉴에서 ELASTIC BLOCK STORE > Volumes 선택
- 인스턴스 목록 상단 작업 > 볼륨수정 선택
- 나타난 창에서 Size를 25로 수정
- 인스턴스로 돌아와서 상태가 running 으로 바뀌면 EC2 인스턴스에 xvda 용량이 변경된 것임
3. lsblk 로 인스턴스에 연결된 블록 디바이스의 정보를 확인 가능
4. sudo growpart /dev/xvda 1 로 파티션 확장
- 이때 growpart: command not found 일 경우
- apt-get install growpart
5. sudo resize2fs /dev/xvda 1 로 리사이즈
6. 위 과정을 거치고 df- h 와 lsblk 로 확인하면 변경 사항이 적용된 것을 확인할 수 있음
- 파티션 관련 명령어(sudo growpart) 조차도 no space left on device 에러로 적용이 안 되는 경우가 있는데
이 과정에서 시간을 많이 소비함- 해결: AWS management console 로 돌아가기
- 인스턴스 오른쪽 클릭 > 인스턴스 상태 > 재부팅
- !!종료하지 말고 재부팅 클릭!!
- 재부팅 후 바로 Putty 를 실행하면 아래같은 오류 발생함
- 인스턴스 오른쪽 클릭 > 인스턴스 상태 > 재부팅
- 해결: AWS management console 로 돌아가기
-
-
-
- 한참 찾다가 다시 실행해보니 오류가 안뜸 적용하는데 시간이 소요되나 봄..
- 이전에도 mobaxterm으로 사용했을 때에도 저 에러가 많이 났었는데 다시 켜보면 되는 경우가 대다수
- 한참 찾다가 다시 실행해보니 오류가 안뜸 적용하는데 시간이 소요되나 봄..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