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수와 변수 자료형 프로그램에서 사용하는 자료의 형태 상수와 변수로 구분하여 사용 프로그램에서 자료처리를 위해서는 자료의 생성과 저장, 처리과정이 필요 C 프로그램은 수많은 명령어와 자료들로 구성 이들자료의 정확한 처리와 효율적인 활용이 필요 C언어는 여러가지 종류의 자료형(data type)을 지원 상수(constant) 항상 고정된 값을 갖는 자료 값이 한번 정해지면 프로그램 도중 그 값을 변경할 수 없는 수 정수형 상수 10진수, 8진수, 16진수로 표현 실수형 상수 부동소수점 형 상수 double형을 기본 자료형으로 사용 문자형 상수 단일 인용부호('')로 묶여 있는 1개의 영문자나 숫자문자 내부적으로는 해당문자의 ASCII 코드값이 사용 'A'는 내부적으로 65(ASCII 코드값)가 사용된다. ..
데이터베이스 모델링의 이해 데이터베이스 모델링의 필요 비즈니스적 관점 어떤 데이터를 저장해야 하는가? 컴퓨터 프로그래머 관점 어떻게 데이터를 저장해야 하는가?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구현 과정 기능적 요구사항: 기능 분석 ->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설계 ->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구현 -> 애플리케이션 사용자 요구사항 분석 -> 개념적 데이터 모델링 -> 논리적 데이터 모델링 -> 물리적 데이터 모델링 데이터베이스 모델링의 개념 데이터의 의미를 파악하고 데이터와 관여하는 업무 프로세스를 개념적으로 정의하고 분석하는 작업 모델링의 단계 사용자 요구사항 분석 --데이터 및 업무--> 개념적 데이터 모델링 --ER모델--> 논리적 데이터 모델링 --관계형 모델--> 물리적 데이터 모델링 --물리적 세부사항--> ..
프로세스 개요 프로세스 프로세스(process): 실행 중인 프로그램 프로세스가 생성되면 프로세스 아이디가 생성됨 프로그램: 동작을 하지 않는 정적, 수동적 개체 프로세스: 동작을 하는 능동적 개체 운영체제로부터 자원을 할당받아 동작 자원: CPU, 메모리, 입출력장치, 파일 등 동작: CPU가 프로세스의 명령을 실행 사용자 및 시스템 프로세스 존재 프로세스와 운영체제 프로세스를 생성 및 삭제 프로세스 실행(CPU할당)을 위한 스케줄 결정 프로세스의 상태를 관리하며 상태 전이를 처리 프로세스의 상태 5-상태 모델 생성: 처음 작업이 시스템에 주어진 상태 준비: 실행 준비가 되어 CPU 할당을 기다리는 상태 실행: 프로세스가 처리되는 상태 대기: 프로세스가 특정 자원을 할당받을 때까지 또는 I/O 작업이 ..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di9DVC/btq0fkjQ1X4/qeNxq6vk9VZVoDCENmt28K/img.png)
주어진 문제를 풀기위한 명령어들의 단계적 나열 입출력 0개 이상의 외부 입력 -> 1개 이상의 출력 명확성 각 명령은 모호하지 않고 단순 명확해야 함 유한성 한정된 수의 단계를 거친 후에는 반드시 종료 유효성 모든 명령은 컴퓨터에서 수행 가능해야함 주어진 문제에 대한 결과를 생성하기위해 모호하지 않고 간단하며 컴퓨터가 수행가능한 일련의 유한개의 명령들을 순서적으로 구성한 것 실용적관점 효율적이어야 함 알고리즘 생성단계 설계 -> 표현기술 -> 정확성 검증 -> 효율성 분석 알고리즘 표현/기술 방법 일상언어 의사코드 순서도 알고리즘의 설계 알고리즘(1): 값들을 하나씩 모두 비교해가면서 찾는 방법 알고리즘(2): 토너먼트 방식 최대값찾기에서 1번과 2번중 어떤것이 더 효율적일까? 효율성을 찾는 기준은 비교..
Java 언어의 기원 Sun Microsystems의 제임스 고슬링 1990년 그린 프로젝트와 Oak 언어 1995년 Java와 HotJava 발표 웹의 확산과 함께 주목을 받음 1996년 1월 JDK1.0발표 1998년 Java2 SDK, SE 1.2(J2SE 1.2부터 Java2라고 함) 2014년 Java Paltform(JDK) SE 8 2020년 9월 Java SE 15 2009년 Oracle이 Sun을 인수함 Java 언어의 특징 C/C++(하이브리드 언어) 언어와 유사하나 단순함 플랫폼에 독립적 완전한 객체지향 언어 웹 또는 네트워크 프로그래밍이 용이 엄격한 자료형의 검사 컴파일하면서 변수의 자료형을 엄격하게 검사함 예외 처리 기능제공 오류가 발생이 예상되는 경우 예외처리를 해줄 수 있음 예..
데이터의 개념 어떤 현상이나 사실에 대한 설명 또는 설명의 집합 데이터의 정의 관찰이나 측정을 통해 얻은 수치, 문자형태의 변할 수 있는 질적 또는 양적 값 데이터의 종류 전통적으로 데이터 표현에 문자, 숫자 등 사용 기술의 발전으로 새로운 유형의 데이터가 보편화 이미지, 음성, 동영상 3차원 동영상 등 시각, 후각, 촉각 등의 데이터를 표현하기 위한 많은 연구가 진행 데이터와 정보 정보 정보의 개념 문제 또는 질문을 해결하기 위한 이용되는 데이터와 데이터의 집합 정보의 정의 관찰이나 측정을 통해 얻은 데이터를 처리하여 실제 문제 해결에 도움이 되는 결과물 질문이 일어나지 않으면 데이터가 정보로 이어질 수 없음 관찰과 측정 데이터의 가공 데이터는 현상에 대한 측정과 관찰로 생성 절대적인 기준에 맞춰 현상..
EPS(Earning Per Share) - 주당순이익 주당순이익은 기업의 당기순이익에서 우선주 배당금을 차감한 보통주 당기순이익을 유통되는 보통주 주식수로 나눈 수치 ** 당기순이익: 영업이익에서 영업 외 수익(예금이자, 부동산 투자수익 등)을 더하고 영업 외 손실(대출 이자, 투자손실 등)과 법인세 비용을 차감하고 남은 금액 주당순이익 = 당기순이익/주식수 1주가 얼마의 이익을 창출했는지 나타내는 연간 1주의 수익지표 EPS는 기업 수익률을 비교하기 좋은 지표 EPS는 기업의 순이익을 주주에게 모두 나누어 줄 때 주당 얼마만큼 금액이 배부되는지 나타냄 적정주가 = 예상 EPS * 예상 PER EPS와 PER은 과거 실적의 계산 결과로 미래구간의 예측을 위해서는 실적 예측을 바탕으로 예상 EPS와 예상..
데이터단위 8 bit = 1 byte 1024 byte = 1 megabyte(MB) 1024 megabyte = 1 gigabyte(GB) 1024 gigabyte = 1 terabyte(TB) 1024 terabyte = 1 petabyte(PB) 1024 petabyte = 1 exabyte(EB) 1024 exabyte = 1 zettabyte(ZB) 1024 zettabyte = 1 yottabyte(YB) 빅데이터 처리 IOT: Data Collection Through IoT Big Data: Capture, storage, analysis of data AI: Data-based learning 데이터 관리의 필요 대량의 데이터를 저장 및 관리하고 필요한 데이터를 신속하게 검색할 수 있도록..
- Total
- Today
- Yesterday
- 이진탐색
- server side rendering
- 동적프로그래밍
- C
- C++
- 배열
- 클래스
- react
- 세마포어
- 최단경로
- 스텍
- 교착상태
- client side rendering
- 소프트웨어
- 자료구조
- Java
- 재귀함수
- dfs
- 퀵정렬
- javascript
- Stack
- 병행프로세스
- 구조체
- 인접리스트
- 알고리즘
- stackframe
- 운영체제
- 인접행렬
- BFS
- 입출력장치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